□ 공유기 취약점으로 인한 공유기 DNS 설정 변조

 

 

 

공유기 취약점으로 인해 공유기 DNS 설정이 변조되어 파밍 웹 사이트로 접속을 시도한 후 악성코드가 다운로드 되는 증상이 다수 접수, 발견 되었습니다.

 

 

 

 



----- (바이러스 제로 시즌 2) |작성자 ViOLeT -----------

공유기의 취약점을 통해 DNS값을 변조하여 포털 사이트(가짜) 등에 파밍 및 악성 앱 설치 유도를 위한 악성 페이지를 띄우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현재 자신이 이와 같은 증상 때문에 고통받고 계시다면 반드시 아래의 내용대로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 ↓ ↓ WeVO 공유기일 경우 ↓ ↓ ↓

0) 공유기의 초기화(Reset) 버튼을 약 6~10초간 눌러 초기화 진행 (공유기 뒷면 미세한 구멍)...
1) 웹 브라우저에서 192.168.10.1 을 입력하여 공유기 설정 페이지로 접속
2) 펌웨어 업데이트 진행
- 관리자 설정 → 펌웨어 관리 → 자동 펌웨어 업로드 → 업로드
3) DNS 설정 변경
- 네트워크 설정 → 인터넷 연결 설정 → DNS 서버 직접 입력 부분 : 사용하지 않음 → 적용
- 또는 기존의 DNS로 변경
- 또는 공유기 초기화로 해결됨
4) 관리자 비밀번호 설정 및 변경
- 관리자 설정 → 관리자 인증 설정 → 관리자 비밀번호 설정 및 변경
5) 공유기 원격 접속 차단 설정
- 보안 기능 설정 → 방화벽 설정 → 공유기 원격 관리 포트 : 사용 안함 체크 → 적용

↓ ↓ ↓ ipTIME 공유기일 경우 ↓ ↓ ↓

0) 공유기의 초기화(Reset) 버튼을 약 6~10초간 눌러 초기화 진행 (공유기 뒷면 미세한 구멍)
1) 웹 브라우저에서 192.168.0.1 을 입력하여 공유기 설정 페이지로 접속
2) 펌웨어 업데이트 진행
- 고급 설정 → 시스템 관리 → 펌웨어 업그레이드 → 자동 업그레이드 실행
3) DNS 설정 변경
- 고급 설정 → 네트워크 관리 → 인터넷 연결 설정 → 기본 및 보조 DNS 서버 값 원래대로 변경
- 또는 공유기 초기화로 해결됨
4) 관리자 비밀번호 설정 및 변경
- 고급 설정 → 시스템 관리 → 관리자 설정 → 관리자 비밀번호 설정 및 변경
5) 공유기 원격 접속 차단 설정
- 고급 설정 → 보안 기능 → 공유기 접속 관리 → 원격 관리 포트 사용 체크 해제

↓ ↓ ↓ SK 브로드밴드(DVW-2000N Series) 공유기일 경우 ↓ ↓ ↓

0) 공유기의 초기화(Reset) 버튼을 약 6~10초간 눌러 초기화 진행 (공유기 뒷면 미세한 구멍)
1) 웹 브라우저에서 192.168.25.1 을 입력하여 공유기 설정 페이지로 접속
2) 펌웨어 업데이트 진행 (수동 전용, 지원이 제대로 안됨)
- Management → 펌웨어 업그레이드
3) DNS 설정 변경
- 네트워크 → 인터넷 설정 → DNS 1/2/3 값 원래대로 변경
- 또는 자동으로 DNS 주소 받기로 변경
- 또는 공유기 초기화로 해결됨
4) 관리자 비밀번호 설정 및 변경
- Management → 비밀번호 설정 → 관리자 비밀번호 설정 및 변경
5) 공유기 원격 접속 차단 설정
- (제보 바랍니다.)

↓ ↓ ↓ SK 브로드밴드(MW-2000AP Series) 공유기일 경우 ↓ ↓ ↓

0) 공유기의 초기화(Reset) 버튼을 약 6~10초간 눌러 초기화 진행 (공유기 뒷면 미세한 구멍)
1) 웹 브라우저에서 192.168.25.1 을 입력하여 공유기 설정 페이지로 접속
2) 펌웨어 업데이트 진행 (수동 전용, 지원이 제대로 안됨)
- Management → Upgrade Firmware
3) DNS 설정 변경
- Ethernet → WAN Setup → DNS 1/2/3 값 원래대로 변경
- 또는 자동 DNS 설정
- 또는 공유기 초기화로 해결됨
4) 관리자 비밀번호 설정 및 변경
- Management → Password → 관리자 비밀번호 설정 및 변경
5) 공유기 원격 접속 차단 설정
- (제보 바랍니다.)

모든 공유기의 내용을 열거할 수 없어 대표적으로 몇 가지의 공유기 설정 방법을 게시해드렸으며, 다른 공유기의 경우 설정 방법이 조금씩 다르지만 큰 차이는 없으니 참고 바랍니다.

※ 설정 후, 브라우저의 임시 파일을 모두 비워주시기 바랍니다.

'끄적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커의 피싱 사이트 등록  (0) 2014.06.20
위장용 파밍 악성코드  (0) 2014.05.26
Web Browser Memory 변조를 이용한 파밍 악성코드  (0) 2014.05.07
nprotect 모듈을 가장한 악성코드  (0) 2014.05.07
Gh0st RAT  (0) 2014.04.24
Posted by Noise0
,